Linux 26

ACL

ACL(Access Control List) -특정 사용자나 특정 그룹에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것1.일반파일의 ACL 1)ACL확인방법#>getfacl ex)notice의 ACL확인2)ACL설정방법 #>setfacl -m ①특정사용자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하고 싶을때#>setfacl -m u:: ②특정그룹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하고 싶을때#>setfacl -m g:: Q)guest_user30(사용자)에게 notice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 부여하기#>setfacl -m u:guest_user30:r-- notice Q)guest_user1(그룹)에게 notice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 부여#>setfacl -m g:guest_user1:r-- noticeQ)notice파일의 소유자의 권한을 r--으로 변경#>..

Linux 2018.05.10

백업

1.전체백업-데이터 전체를 하나의 아카이브로 압축#>tar cvfpJ -g cvfp : 아카이브생성후 xz로압축p : 권한유지 ex)백업list경로 : /backup/20180502_1 백업파일의 경로 : /backup/fullback.tar.xz 백업된파일을 저장할 디렉터리 : /backup 백업할 디렉터리 : /data (data안에는 group, passwd, services파일이있는상황)1) 전체백업하기#>tar cvfpJ /backup/fullback.tar.xz -g /backup/20180502_1 /data 2) 확인방법#>tar tvf /backup/fullback.tar.xz 2.증분백업-반드시 한번은 전체백업이 되어있어야 한다-이전에 전체백업된 내용과 비교해서 변화된 부분만 백업1)파..

Linux 2018.05.02

정규 표현식

정규표현식-리눅스,자바... 등에서 사용-패턴을 가지고 문자열 검색#>grep -E //확장된 정규표현사용 ^문자열 //해당문자열로 시작하는 라인을 찾는다문자열$ //해당문자열로 끝나는 라인을 찾는다[문자집합] //해당문자가 들어있는 라인을 찾는다 ex)grep -E "[abc]" //a또는b또는c가 들어있는 라인을 찾는다 Q)r이나 i로시작하는 라인검색 /etc/passwd에서#>grep -E "^[ri]" /etc/passwdQ)대문자로 시작하는 라인검색 /etc/passwd에서#>grep -E "^[A-Z]" /etc/passwdQ)대문자로 시작하고 그다음 글자가 소문자인 라인검색 /etc/passwd에서#>grep -E "^[A-Z][a-z]" /etc/passwd [^] //not을의미ex)gr..

Linux 2018.05.01

압축

-파일압축o , 디렉터리는 압축x -원본파일은 보존x-리눅스에서 사용할수있는 압축 1.gzip#>gzip ex)gzip ./file-rw-r--r-- 1 root root 496 5월 1 20:18 file.gz*압축해제*#>gzip -d .gzex)gzip -d ./file.gz-rw-r--r-- 1 root root 1195 5월 1 20:18 file 2.xz #>xz ex)xz ./file-rw-r--r-- 1 root root 548 5월 1 20:18 file.xz*압축해제*#>xz -d .xzex)xz -d ./file.xz-rw-r--r-- 1 root root 1195 5월 1 20:18 file 3.bzip2#>bzip2 *압축해제*#>bzip2 -d .bz2 -압축x, 여러개의 파일을..

Linux 2018.05.01

/

/ //최상위디렉터터리/boot/ //리눅스 커널의 메모리 이미지와 부팅과정에서 필요한 정보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bin/ //기본적인 명령어 실행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root/ //관리자 슈퍼유저 root의 홈디렉터리/home/ //일반 사용자의 홈디렉터리/etc/ //시스템이나 사용자 관리를 위한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dev/ //장치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lib/ //언어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들어있는 디렉터리/mnt/ //원격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media/ //cd-room을 이용하기 위한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/sbin/ //시스템운영 및 관리를 위한 명령어 실행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부팅과정에서 필요한 명령어 실행파일이 들어있다/usr/ //windo..

Linux 2018.04.30

find

#>find 1)이름으로 검색#>find -name ex)find /root -name passwd 2)크기로 검색#>find -size #>find -size + //크기가 num이상 검색#>find -size - //크기가 num이하 검색Q)크기가 10byte인것 검색#>find /root -size 10cQ)/tmp에 아무내용도 없는 파일검색#>find /tmp -size 0**검색한 파일을 이용해서 명령어 동작하기**① -ls : 검색한 파일을 자세히 출력ex) fine /tmp -size 0 -ls② -print :기본값③ -delete :검색한 파일을 삭제ex)fine /tmp -size 0 -delete 3)type-type d //디렉터리만출력-type f //일반파일만 출력-type l ..

Linux 2018.04.30

링크파일

1.파일시스템-저장장치에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체계 -각운영체제에 고유의 파일시스템이 존재한다ex)windows는 NTFS,FAT16/32/64 Linux는 ext2/3/4-구조:부트블럭,슈퍼블럭,inodelist,데이터블럭①부트블럭: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들이 들어있는 영역②슈퍼블럭:파일시스템의 크기등 파일시스템 전체에 대한 정보가 있는 영역③inodelist:파일시스템내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가리키는 inode를 저장하는 영역④데이터블럭:가장 큰 공간을 차지한다:파일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*inode-파일한개당 한개의 inode를 갖는다-파일이름을 제외한 모든 정보를 갖는다-inode를 더이상 생성할수 없으면 저장장치에 용량이 남아도 데이터를 저장할수 없다 2.링크파일*in..

Linux 2018.04.30

패스워드 관리

1.패스워드 확인(/etc/shadow를 vi로 열어서 확인가능)ex)user2의 비밀번호 설정전 ex)user2의 비밀번호 설정후user2 : $6$..... : 17651 : 0 : 99999 : 7 : : : ----- ------- ------- -- ------- --- - -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①사용자이름②패스워드(이때 사용하는 hash함수는 sha512)③패스워드 최근 수정일(1970년1월1일부터~계산)④패스워드 변경 최소일 - 패스워드 변경하려면 최소일수가 지나야 변경가능⑤패스워드 변경 최대일 - 패스워드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수 있는 최대기간⑥패스워드 변경 경고일 - 패스워드 변경 최대일에 가까워질 경우 사용기한 며칠전에경고를 보낼것인지⑦비활성화 기간 - 패스워드 변경 최대일이 ..

Linux 2018.04.30

특수권한

1.SETUID -소유자로 변경하는 기능-실행파일에서만 설정할수 있는 특수권한-chmod 4000대로설정ex)SETUID설정*소유자 실행권한에 s가 있으면 =>SETUID설정o 2.SETGID-소유그룹으로 변경-실행파일에서만 설정할수 있는 특수권한-chmod 2000대로 설정ex)SETGID설정*소유그룹실행권한에 s가있으면 =>SETGID설정o 3.sticky bit-디렉터리 파일에서만 설정 가능한 특수권한-게시판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특수권한-chmod 1000대ex)sticky bit설정*다른사용자 실행권한에 t가있으면 =>sticky bit 설정o ex):s1사용자가 되어 sticky bit설정이 되어있는 exam디렉터리 파일에 s1파일을 생성도 가능하고 삭제도 가능하다. :s2사용자가 되어 s1이 ..

Linux 2018.04.30

그룹관리

1.그룹확인(/etc/group을 vi로열어서 확인가능)---- --- ------ ------- ① ② ③ ④①그룹이름②사용x③GID - 0이면root, 1000미만은 시스템그룹,1000이상을 사용자그룹④해당그룹에 속한 사용자(단,기본그룹제외) 2.사용자의 그룹확인#>id //그룹은여려개 가져도 상관x, 기본그룹은 반드시하나3.그룹생성#>groupadd #>groupadd -g //GID지정4.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기1)vi편집기를 사용해 /etc/group 내용수정2)command사용#>usermod -G //그룹추가#>usermod -g //기본그룹변경**command를 사용해 그룹을 추가하게 되면 기본그룹1,그룹1 최대 2개까지여러개의 그룹에 넣고싶으면 직접vi를 사용해서 수정5.그룹삭제1)vi를..

Linux 2018.04.24